인물로 읽는 환경이야기, 지구별에서 함께 살아가기
자연은 보호해야 할 대상일까요 아니면 인간의 편의를 위해서 개발해야 할 대상일까요. 청소년은 물론이고 어른들도 깊게 생각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보다 더 잘 살고 싶은 욕망은 자연을 파헤치고, 삽으로 굴삭기로 파헤치게 만듧니다. 하지만 결국 거대한 자연의 힘 앞에 무릎을 꿇고 말지요.
지구라는 별에는 인간만 사는 것이 아닙니다. 동물의 왕국이나 네셔널지오그래픽, 디스커버리를 보면 수 많은 생명체가 같이 살고 있는 지구를 알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인간은 마치 자연이 자기들 것인양 개발하고, 마음대로 하지요.
물론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을 보존하기위해서 노력하는 사람들도 수를 헤아릴 수 없이 많습니다. 《지구별에서 함께 살아가기》는 이렇게 자연을 보존하고, 사랑하기 위해서 일생을 보낸 훌륭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책을 읽고, 청소년들이 자연에 대해 보다 깊게 생각하고, 결국 자연보호가 인류 존속의 정답임을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이 책에는 총 7명의 인물이 등장합니다.
1. 침묵의 봄을 쓴 레이첼 카슨
2. 침팬지를 통해 동물의 소중함을 일깨워준 제인구달
3. 공유지의 비극을 통해 난개발의 위험을 알린 개릿 하딘
4. 국립공원의 아버지 존 뮤어
5. 가이아 이런의 제임스 러브록
6. 열대림 채취 보호구역 설립에 앞장서다 살해당한 치쿠 멘데스
7. 반다나 시바와 물 민주주의
2. 침팬지를 통해 동물의 소중함을 일깨워준 제인구달
3. 공유지의 비극을 통해 난개발의 위험을 알린 개릿 하딘
4. 국립공원의 아버지 존 뮤어
5. 가이아 이런의 제임스 러브록
6. 열대림 채취 보호구역 설립에 앞장서다 살해당한 치쿠 멘데스
7. 반다나 시바와 물 민주주의
각각 다른 차원에서 자연보호를 외친 이들은 모두 훌륭한 업적과 자연에 대한 우리의 각성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그 중에 가이아 이론이 참 흥미롭더군요. 지구를 하나의 커다란 생명체로 보는 가이아 이론에 따르면 지구는 항상 평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우리가 알 수 없는 메카니즘을 가동 시킨다고 합니다. 기온이 올라가면 대지나 바다의 수분이 증발하여 열기를 빼앗아 좀 더 추운 지방으로 대류를 합니다. 그렇게 지구 에어컨이 가동되고 있으며, 탄소의 순환이라던가 질소의 순환 같은 범 지구적인 메카니즘이 돌고 있습니다.
이를 좀 더 확장하고 상상력을 발휘하다면 가이아는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지구에 위협을 가하고 자원을 파헤치는 오만한 인간을 없에기 위해 어떤 메카니즘을 동작시킬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구 온난화가 가속되면서 슈퍼 허리케인과 폭풍해일이 잦아 지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지요.
물론 가이아 이론은 정식 이론으로 인정 받고 있지는 못한 모양입니다. 하지만 가이아 이론을 통해서 생명이란 무엇인가, 지구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어때야 바람직한가 등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인간의 자연에 대한 태도를 경각시키는 좋은 이론에 개릿 하딘의 공유지의 비극을 들 수 있습니다. 공유지의 비극을 설명한 부분을 인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여기에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공공목장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방목지에 한두 마리 정도의 소를 키우기 시작했을 때 소는 여유롭게 이리저리 다니며 풀을 충분히 뜯어 먹을 수 있다. 이 소들은 건강하고 보기 좋게 살찐다. 소들이 점점 늘어나 일정 단계에 이르면 소의 숫자와 풀의 양이 자연스럽게 균형을 이루게 된다. 공공목장의 한계수용력을 넘어서지 않는다면 역동적인 균형 상태는 오래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이 마을 목동들은 자신이 비용을 부담하는 개인 목장보다는 공공목장에 가축을 가능한 한 많이 풀어놓으려 할 것이다. 비용을 부담하지 않으면서 가축들이 신선한 풀을 마음껏 먹도록 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소싀 수가 계속해서 늘어나면 결국 풀이 사라져 목장은 황폐해지고 말 것이다. 공공목장의 균형은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무너질 수 있다.
- 《지구별에서 함께 살아가기》中 80 페이지 -
자연을 대하는 우리 인간의 모습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연을 난개발하고, 이산화탄소를 과배출한다면 지구가 인간이 살 수 없을 정도로 망가진다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욕심때문에 그것을 멈추기는 정말 힘들게 됩니다.
인간이 멸망한다면, 그 근본적인 윈인은 인간 내면에 숨어있는 욕심일 것입니다. 인간은 자신들의 욕심때문에 멸망할 것이라는 제 철학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미 많은 부를 이룩한 선진국의 경우엔 자연환경을 돌아볼 여유가 있습니다만 이제 막 성장하기 시작한 개발 도상국에서 환경 오염은 뒷일이지요. 급성장하는 인도와 중국에서의 이산화 탄소 배출은 나날이 늘고 있습니다. 인간은 결국 종말을 맞이할 존재일 것인가요?
이제 그린의 개념은 환경론자의 것만이 아닙니다. 모두 환경보호에 관심을 가지시길 바랍니다.